챗GPT의 프로젝트 소개/기능 정리:반복 업무를 위한 스마트한 작업 공간
목차
✔ 장기 작업에 최적화된 스마트 AI 워크스페이스
챗GPT의 Projects 기능은 단순한 챗봇이 아닌, 복잡하고 장기적인 업무 흐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작업 공간이다. 기존에는 하나의 채팅창에 질문하고 답변을 받는 방식에 그쳤다면, 이제는 프로젝트 단위로 관련된 모든 자료와 대화를 한 곳에 모아 저장하고, 작업의 맥락을 끊김 없이 이어갈 수 있다.
각 프로젝트는 관련 채팅, 파일 업로드, 커스텀 지침을 결합해 유기적인 작업 흐름을 가능하게 하며, 챗GPT가 사용자의 목적과 스타일에 맞는 응답을 일관되게 제공하도록 돕는다. 더불어 Deep Research, 음성 모드, GPT-4o 모델 전환 등 다양한 고급 기능과 통합되어 있어, 단순한 챗봇이 아닌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이는 도구로 개발되었다.
Pro, Plus, Team, Enterprise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 기능은 단일 과제를 넘어서 회의록 정리, 콘텐츠 기획, 보고서 작성,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프로젝트를 세분화해 사용할 수 있어, 현대 지식노동자의 워크플로우를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핵심 기능이라 할 수 있다.
✔ 반복적인 업무를 위한 AI 기반 정보 정리 허브
챗GPT의 프로젝트는 단순히 대화를 저장하는 수준을 넘어, AI와 협업해 문서화·분석·리서치 등을 반복 수행하는 정보 작업의 중심이다. 예를 들어 마케팅 기획을 하는 경우, 프로젝트 내에서 브레인스토밍, 페르소나 생성, 경쟁사 분석, 보고서 작성까지 모든 과정을 하나의 흐름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각 프로젝트는 생성 시 자동으로 고유 작업 공간을 형성하며, 기존에 진행하던 대화 및 파일 흐름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특히 Pro 및 Enterprise 요금제 사용자에게는 프로젝트 간 컨텍스트 공유와 고급 보안 기능도 함께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는 반복적이거나 점진적인 과제를 수행할 때 작업의 품질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유용하다.
최근에는 Deep Research, 음성 모드, 모델 전환 등 다양한 기능이 더해져 기능성이 대폭 강화되었으며, 이 기능은 Pro, Plus, Team, Enterprise 요금제 사용자에 한해 제공된다. 각 프로젝트는 대화 흐름을 저장하고, 파일은 최대 20개까지 업로드 가능하며, 커스텀 지침을 통해 AI의 응답 톤과 형식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어 기획, 회의, 리서치, 콘텐츠 제작 등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업무에 매우 적합하다.
챗GPT 프로젝트 기능 요약
- 스마트 워크스페이스 : 관련 채팅, 파일, 지침을 한데 모아 장기 프로젝트 관리
- 파일 업로드 : RAG를 위한 파일 최대 20개 업로드 가능
- 지침(Instruction) 설정 : 응답 톤과 형식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커스텀 지침 설정
- 대화 검색 : 프로젝트 내 과거 대화 신속 검색으로 생산성 향상
- 컨텍스트 유지 : 새로운 채팅에서도 기존 대화의 맥락을 기억
- 기존 기능 통합 : Deep Research, 음성 모드, 모델 전환, 등 사용 가능
✔ 간단하게 사용해볼 수 있는 프로젝트 기능
프로젝트 기능은 챗GPT의 사이드바에서 New Project 버튼을 통해 추가할 수 있다.
New Project 버튼을 클릭하면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한다.
프로젝트가 추가되면 아래 이미지처럼 폴더 형태 아이콘으로 추가가된다.
지침 추가 (Add instructsions)
Add instructions 버튼을 클릭하면 이 프로젝트에만 해당하는 별도 커스텀 지침을 추가할 수 있다. 지침을 추가함으로써 일관된 형식을 유지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파일 추가 (Add files)
GPT가이 프로젝트에서 참조할 자료를 업로드해서 답변을 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 최대 20개까지 가능하며, PDF, Markdown 파일 등을 업로드할 수 있다.
보이스 모드 / 딥리서치
비교적 최근에 업데이트된 기능들인데, 프로젝트에서 이제 보이스 모드와 딥리서치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독 요금제에 따라 딥리서치는 사용량이 제한되겠지만, 프로젝트 내에서 딥리서치를 활용한다면 데스크 리서치에도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보이스 모드 / 딥리서치
프로젝트 내에서 채팅을 사용하면 프로젝트 안에 저장된다. 이 채팅들은 프로젝트 내에서 GPT가 검색을 할 수도, 참조해서 답변을 해준다. 모든 자료와 대화를 한 곳에 모아 저장하고, 작업의 맥락을 끊김 없이 이어갈 수 있는 것이다.
오늘은 챗GPT의 프로젝트 기능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필자의 경우 별도 노트를 하기 위한 포맷을 지침에 추가해두고 조사가 필요할 때 프로젝트 기능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특히 코딩과 리서치를 프로젝트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상당히 만족도가 높은 기능이다.
저를 응원해주세요!
'G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캔버스(Canvas) 기능 알아보기 [챗GPT 캔버스] (2) | 2025.05.18 |
---|---|
ChatGPT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알아보기 (2) (0) | 2025.05.10 |
ChatGPT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알아보기 (1) (1) | 2024.06.30 |
Mojo🔥 설치 및 실행하기 (0) | 2023.09.17 |
ChatGPT 주식 분석 플러그인:Boolio Invest (9) | 2023.07.08 |
반복적인 문서 작업, 리서치, 기획을 하다 보면 AI의 도움을 받고 싶어도 대화 맥락이 끊기거나 자료 정리가 어렵다는 점이 아쉬웠을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챗GPT는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도입했다. 이 기능은 하나의 주제에 따라 채팅, 파일, 지침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장기 과제나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준다. 본 글에서는 챗GPT 프로젝트 기능과 사용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